생활 속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만남의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공동체 활동을 확산하고, 건강한 지역관계망을 형성하는 과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마을의 활력을 도모하고, 지역의 문화적‧사회적 화합을 이루어 가고자 합니다.
거주지 또는 생활기반 시설(학교, 직장)의 거리, 골목 등 일상적 삶의 활동 장소를 기반으로 생활 속 문화 활동을 통해 보다 나은 마을살이에 대한 공통의 공동체 상을 가진 모임을 말합니다.
주민주도의 생활문화 활동을 통한 건강한 지역관계망 형성하고, 더 나아가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 구조 마련으로 마을 안에서 모두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적 가치를 회복하고자 합니다.
마을 내 개개인 삶의 문화적‧사회적 가치 발견 및 공동의 활동 참여 확대를 통해 마을의 공적인 삶의 장소 회복 및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생활과 일상에서 문화적 요소 발굴하고, 주민이 공동체 내에서 문화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 지원을 통해 지역 고유의 삶의 문화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마을의 고유자원과 주민들을 문화적으로 결합하여 연계 가능한 매개 프로그램 활동, 주민주체를 발굴‧양성하기 위한 활동을 지원합니다.
구분 | 일반지원(마을공동체 형성 지원) |
---|---|
사업기간 | 2020. 3. ~ 12. |
지원대상 | 마을단위 주민조직 및 문화예술 단체‧기관‧시설 |
지원내용 | 마을을 기반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다양한 생활문화 활동 |
지원규모 | 15백-40백만원
|
구분 | 지역협력네트워크지원 |
---|---|
사업기간 | 2020. 3. ~ 12. |
지원대상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지원사업의 경험이 있는 주민조직 및 멘토 마을의 역량을 갖춘 주민조직, 문화예술 단체‧기관‧시설 (교류마을 2곳 이상 필수) |
지원내용 | 마을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한 마을이 인근 마을의 공동체 발굴 및 확산을 지원 또는 비슷한 활동 경험을 가진 인근 마을 공동체 간의 협력, 동반 성장을 위한 활동 및 프로그램 |
지원규모 | 20백-25백만원
|
구분 | 단체수(개) | 활동수(건) | 참여자수(명) | 총예산(백만원) |
---|---|---|---|---|
2019 | 40 | 3,784 | 89,974 | 1,170 |
2018 | 49 | 3,674 | 88,621 | 1,300 |
2017 | 44 | 3,471 | 67,452 | 1,080 |
2016 | 27 | 3,632 | 64,870 | 1,080 |
2015 | 27 | 3,691 | 40,212 | 1,200 |
2014 | 31 | 3,632 | 39,152 | 1,200 |
2013 | 27 | 3,558 | 35,382 | 1,180 |
2012 | 24 | - | - | 1,200 |
2011 | 25 | - | - | 1,200 |
2010 | 19 | - | - | 1,200 |
2009 | 18 | - | - | 1,200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은 국민체육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01
단체공모 및 선정
공모 공고
(일반지원, 지역협력네트워크지원)
02
운영워크숍
사업의 이해 및 사업계획서 보완
03
교부신청서접수 및 통지
보완된 교부신청서 접수 및 교부
04
사업실행
각 마을 주민문화공동체별 사업 시행
05
맞춤형 현장 컨설팅
일대일 전문가 현장컨설팅 실시
06
중간워크숍
역량강화 및 단체 간 네트워크
07
그룹컨설팅
권역별 그룹컨설팅 실시
08
정산 및 사업결과보고
사업결과보고 및 정산보고서 제출
마을자원과 주민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공동체 프로그램, 주민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주민역량 강화교육, 공동체 간 연계를 통한 관계의 문화 강화를 위한 지역 교류활동을 지원합니다.
구분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
워크숍(회) | 7 | 4 | 13 | 6 | 4 |
모니터링 및 컨설팅(회) | 49 | 48 | 58 | 67 | 30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은 국민체육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01
단체공모 및 선정
공모 공고
(일반지원, 지역협력네트워크지원)
02
운영워크숍
사업의 이해 및 사업계획서 보완
03
교부신청서접수 및 통지
보완된 교부신청서 접수 및 교부
04
사업실행
각 마을 주민문화공동체별 사업 시행
05
맞춤형 현장 컨설팅
일대일 전문가 현장컨설팅 실시
06
중간워크숍
역량강화 및 단체 간 네트워크
07
그룹컨설팅
권역별 그룹컨설팅 실시
08
정산 및 사업결과보고
사업결과보고 및 정산보고서 제출
마을자원과 주민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공동체 프로그램, 주민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주민역 량 강화교육, 공동체 간 연계를 통한 관계의 문 화 강화를 위한 지역 교류활동을 지원합니다.
발행년도 | 제목 | 종류 |
---|---|---|
2020 | 2020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리플릿 | 홍보물 |
2019 | 2019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홍보 리플릿 | 홍보물 |
2018 | 2018 생활문화공동체 생활문화탐색형 사례집 | 연구보고서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10년 사례집 <나, 함께 산다> | 사례집 | |
2018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공식 리플릿 | 홍보물 | |
2017 | 2017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홍보 리플릿 | 홍보물 |
1차 좌담회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자료집 | 자료집 | |
2차 좌담회 <누구를 위한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인가?> 자료집 | 자료집 | |
3차 좌담회 <사람이 답이다. 공동체 활동, 그리고 사람> 자료집 | 자료집 | |
4차 좌담회 <공동체 활동에서의 공공지원, 가야할 방향은?> 자료집 | 자료집 | |
2017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례집 <마을듣기 – 마을, 계속되는 시간을 말하다> | 사례집 | |
2017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성과평가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 |
2016 | 마을, 그리고 생활문화가 함께한 2016 이야기 | 사례집 |
2016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성과평가 결과보고서 | 연구보고서 | |
2015 | 마을, 그리고 생활문화가 함께한 2015 이야기 | 사례집 |
마을, 새로운 이야기를 쓰다 | 사례집 | |
2015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성과평가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