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과 생활문화동호회가 직접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일상적 문화예술프로그램 및 축제를 지원함으로써 참여자 스스로가
자발적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삶을 풍요롭게 가꾸어 나가는 문화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술 장르로 구분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이거나 일상적으로 참여하여 행하는 유형·무형의 모든 문화적 활동을 말합니다.
생활문화동호회는 이러한 문화 활동을 공통의 관심사로 공유한 자발적 모임으로, 생활문화 확산의 핵심이 되는 공동체 단위입니다.
지역 내에 주민 주도형 생활문화 협력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생활문화동호회와 주민이 일상 속에서 함께 기획하고 주도하는 다양한 생활문화 활동을 지원합니다.
사업기간 | 2020년 1월~12월 |
---|---|
사업대상 | 생활문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공공 및 민간단체 |
지원내용 |
|
지원규모 | 사업 당 3백만원~20백만원 차등 지원
|
01
사업공모
02
심사 및 선정
03
지원금 교부
04
사업수행
05
모니터링 및 평가
06
결과보고
* 사업 공모는 1월~2월 중에 공고되며, 2020년 공모는 마감되었습니다.
* 자세한 내용 지원사업 공모 안내문 참조
2014년부터 시작된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를 위해 누적 904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습니다. 누적 7,790개의 동호회가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다채로운 공연과 전시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속 문화를 즐기고 나누었습니다.
연도 | 지원단체(개) | 지원규모(천원) | 프로그램(개) | 프로그램 운영(회) | 참가동호회(팀) | 관객수(명) |
---|---|---|---|---|---|---|
2019 | 69 | 866,779 | 161 | 747 | 1,550 | 68,289 |
2018 | 86 | 1,096,204 | 307 | 307 | 1,840 | 70,700 |
2017 | 56 | 728,016 | 162 | 162 | 1,450 | 61,753 |
2016 | 55 | 678,170 | 157 | 157 | 1,364 | 54,175 |
2015 | 45 | 868,940 | 117 | 117 | 1,586 | 415,786 |
누적 | 311 | 4,238,109 | 904 | 1,490 | 7,790 | 670,703 |
지역의 다양한 생활문화동호회 활동 및 교류 사례를 발굴, 공유하여 생활문화의 가치를 알리고 활동의 확산을 도모합니다.
발행년도 | 제목 | 종류 |
---|---|---|
2018 | 2018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 결과보고서 | 연구보고서 |
2018 생활문화동호회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 | 연구보고서 | |
2017 | 2017 전국생활문화제 디렉토리북 | 연구보고서 |
‘문화가 있는 날’ 생활문화동호회 지원사업 평가연구 보고서 | 연구보고서 | |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생활문화방담회 결과자료집 | 기타 | |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 소셜인플루언서 에세이집 | 기타 | |
2016 | 2016 전국생활문화제 디렉토리북 | 기타 |
‘문화가 있는 날’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결과자료집 <56개의 생활문화축제 이야기> |
기타 | |
‘문화가 있는 날’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평가연구 보고서 | 연구보고서 | |
2015 | ‘문화가 있는 날’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 평가보고서 | 연구보고서 |
2014 | 2014 전국생활문화동호회축제 디렉토리북 | 기타 |
2014년부터 시작된 전국생활문화축제의 누적 참가 동호회수는 785팀, 7,372명입니다. 음악, 무용, 미술,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지역 대표 동호회가 참여하여 다채로운 공연과 전시,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을 펼치고 생활문화를 매개로 지역 간 소통하고 교류하였습니다. 2019년 47개의 지역문화재단, 생활문화센터, 문화의집, 생활문화연합회 등 지역문화단체로 구성된 축제 추진단을 구성하여 지역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자발적 문화 활동의 전국적 확산을 도모하였습니다.
시기/장소 | 매년 하반기/지역 |
---|---|
참여대상 | 생활문화의 다양한 주체(동호회, 청년 세대, 가족・직장 단위, 취향・마을 공동체), 광역·지역문화재단, 연합단체, 생활문화센터 외 문화시설 등 |
프로그램 | 생활문화동호회 공연 및 전시, 시민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참가자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 |
* 자료실의 2019 ‘문화가 있는 날’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결과자료집 ‘56개의 생활문화 축제 이야기’(140p~)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1
축제추진계획
(2~5월)
개최지(공동주관처) 선정
총감독 선임
축제추진위원회 설치
02
축제실행계획 수립
및 운영 준비
(5월~6월)
축제추진단구성
지역간 협력체계 구축
03
축제개최준비
(7월~8월)
축제추진단구성
워크숍 2회
04
축제개최 및 운영
(9월)
홍보 및 현장운영
05
축제평가
(10~12월)
성과공유 및 평가 워크숍
정산완료
축제명 | 일시 | 장소 | 슬로건 | 참가 규모 |
---|---|---|---|---|
2019 전국생활문화축제 |
2019.9.23.(금)~9.29.(일) /7일 |
청주시 고인쇄박물관 및 한국공예관 일대 |
함께 사는 세상, 多모여, 多함께, 多즐겁게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221팀, 1,806명 |
2018 전국생활문화축제 |
2018.9.14.(금)~9.16.(일) /2박 3일 |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일대 |
생활문화 여(餘), 기(技), 예(藝)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47팀, 1,218명 |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 |
2017.9.7.(목)~10.(일) /3박 4일 |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일대 |
두근두근 내안의 예술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05팀, 1,004명 |
2016 전국생활문화제 |
2016.10.29.(토)~30.(일) /양일간 |
북서울 꿈의숲 |
나에게 우리를 더하다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25팀 1,481명 |
2015 전국생활문화제 |
2015.10..24.(토)~25.(일) /양일간 |
북서울 꿈의숲 |
일상이 이상으로!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32팀, 1232명 |
2014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축제 |
2014.11.22.(토) 11:00~18:00 |
코엑스 오디토리움 |
우리 안에 숨쉬는 자유를 만나다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55팀, 540명 |
누적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564팀, 5,475명 |